출제 빈도 시리즈 3회차:상수도 설계 요소 – 급수량과 인구수 추정 완전 정복

출제 빈도 시리즈 3회차:

상수도 설계 요소 – 급수량과 인구수 추정 완전 정복


✅ 서론: 상수도 계획의 출발점은 정확한 '예측'입니다

수질환경기사 시험 과목 중 하나인 상하수도계획은 대부분 암기 위주의 과목이지만, 그중에서도 '상수도 설계 요소'는 개념 이해와 계산력을 함께 요구합니다. 특히 급수량 결정인구수 추정은 기본 중의 기본으로, 수차례 반복 출제되고 있는 핵심 영역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두 개념을 중심으로 출제 포인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급수량 결정의 기본 개념

🔹 1일 최대급수량 (Qmax)

  • 하루 중 가장 많은 물을 사용하는 날의 수요량
  • 계획 1일 평균급수량 × 최대일 변동계수

🔹 1일 평균급수량 (Qavg)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급수량
  • 계획 급수인구 × 1인 1일 평균 급수량

🔹 1시간 최대급수량 (Qhmax)

  • 특정 하루 중 가장 많은 급수가 발생하는 시간의 수요량
  • 1일 최대급수량 × 최대시 변동계수 / 24

🔹 변동계수 예시

구분 값

최대일 변동계수 1.3~1.8
최대시 변동계수 2.0~3.0

👥 인구수 추정 방법

🔹 등차법

  • 일정한 수의 증가를 가정하는 방법
  • 예: 2020년 10만 → 2030년 11만 → 2040년 12만 (10년마다 1만 증가)

🔹 등비법

  • 일정한 비율로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가정
  • 예: 매년 2% 성장 시, Pn=P0×(1+r)nP_{n} = P_{0} × (1+r)^n

🔹 감소법

  • 인구가 점차 감소할 것으로 가정 (농촌 등)

🔹 최근법 (추세법)

  • 최근 인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형 회귀 또는 곡선 회귀를 적용

📌 기출문제 분석

Q1. 1일 평균급수량이 10,000㎥이고 최대일 변동계수가 1.5일 때, 1일 최대급수량은?

  • A. 15,000㎥ ← 정답

Q2. 1일 최대급수량이 12,000㎥, 최대시 변동계수가 2.4일 때, 1시간 최대급수량은?

  • A. 1,200㎥ ← 정답 (공식: 12,000 × 2.4 / 24)

Q3. 다음 중 인구 예측에 등차법이 적합한 경우는?

  • A. 일정한 수로 증가하는 지역 ← 정답

🧠 암기 팁 & 계산 공식 정리

  • 1일 평균 = 인구 × 1인당 급수량
  • 1일 최대 = 평균 × 최대일 변동계수
  • 1시간 최대 = 최대일 × 최대시 변동계수 / 24
  • 등비법 공식: P=P0×(1+r)nP = P_0 × (1 + r)^n
  • 변동계수 범위는 외워두기!

🔚 결론

상수도 설계는 결국 '얼마나 예측을 잘하느냐'의 문제입니다. 정확한 급수량 계산과 적절한 인구 예측법을 알고 있으면, 상하수도계획 과목의 큰 축을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출제 포인트만 잘 익혀도 고득점은 어렵지 않아요.


🏷️ 추천 태그

#수질환경기사 #상하수도계획 #상수도설계 #급수량계산 #인구수예측 #등차법 #등비법 #수도시설계획 #수질환경기사필기 #자격증시험 #기출문제 #환경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