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환경스토리

💸 탄소세의 모든 것: 기후 위기 시대의 경제 도구

이환경 2025. 5. 26. 22:42

💸 탄소세의 모든 것: 기후 위기 시대의 경제 도구


서론 🌱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가장 직관적인 경제정책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탄소에 가격을 매기는 것, **탄소세(Carbon Tax)**입니다. 배출하는 만큼 부담하게 하여, 탄소 감축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기후경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탄소세의 개념, 설계 방식, 실무 계산, 글로벌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본론 📊

1. 탄소세란 무엇인가?

  •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행위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환경세의 일종
  • 배출량 기반 부과: 1t CO₂당 일정 금액 (: 50,000/t CO₂)
  • 배출원: 산업체, 수송, 발전소, 건물 등

실무 계산 예시 #1

  • A사 연간 배출량: 200,000t CO₂
  • 탄소세: 50,000/t

연간 부담 세액 = 200,000 × 50,000 = 100억 원


2. 탄소세와 ETS(배출권거래제) 차이

구분 탄소세 ETS
방식 고정 세율 부과 배출권 거래를 통한 시장가격 형성
예측성 높음 (세율 고정) 낮음 (가격 변동)
유연성 낮음 높음
도입 국가 스웨덴, 핀란드, 한국 예정 EU, 중국, 한국 등

실무 계산 예시 #2: ETS와 탄소세 비교

  • ETS 시장가: 80,000/t, 탄소세: 50,000/t

기업 전략: 자발적 감축 → ETS 매도수익 창출 가능성


3. 글로벌 탄소세 도입 현황 🌍

  • 스웨덴: 1991년 도입, 1t CO₂당 약 140유로세계 최고 수준
  • 핀란드: 난방연료 중심 과세, 재정 투명성 높음
  • 일본: 에너지세 형태 포함, 배출 저감은 제한적
  • 한국(예정): 2025년부터 기후에너지세 단계 도입 예정 (기획재정부 발표 기준)

실무 계산 예시 #3: 한국 예상 세수 규모

  • 전체 산업 배출량: 7 t CO₂
  • 세율 50,000/t → 7 × 50,000 = 35조 원/

기업 대응 사례 🏢

1) SK하이닉스

  • 탄소세 부담 예측자체 감축 기술 + RE100 이행 가속화

2) 포스코

  • 저탄소 제철 공정(POSCO HyREX) 개발미래 세부담 최소화

3) 에너지다소비 업종협회

  • 정부에 세율 완화 요구 / 감면 대상 확대 건의 중

결론 및 제언 🧭

탄소세는 단순한 세금이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가 기후 리스크를 반영해 합리적인 에너지 선택을 유도하는 경제 신호입니다. 앞으로의 ESG 경영과 기후 정책에 있어 필수 요소가 될 것입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탄소배출권 거래제 ETS"를 다루겠습니다.


🌱 ()이이컴퍼니 지톡은 누구나 환경을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콘텐츠를 만듭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탄소세 #CarbonTax #기후경제 #ETS #배출권거래제 #SK하이닉스 #포스코 #RE100 #환경세제 #2050탄소중립 #지속가능성 #지톡